2018년 8월 4일 토요일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orthogonal, correlation and independence?

제게는 마주칠 때마다 헷갈려서 다시 고민하게 되는 개념들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이 세 가지 녀석들입니다:

Orthogonality, Correlation, Independence.

오늘도 다시 한 번 마주칠 일이 있어서 또 하루종일 공부하는 우매한 짓을 저지른 후, 다시는 이러지 않도록(....이러고선 또 언젠가 다시 이 포스트를 보고 공부하겠지...뻔해...)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Independence


"Independence"는 통계적인 개념입니다. 두 random variables X와 Y의 joint distribution이 marginal distribution의 곱으로 표현이 될 때 statistically independent하다고 말한다. 각 variable의 density를 $f$라고 하면:
$$f(x,y) = f(x)f(y),$$
좀 더 일반적으로는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을 $F$라고 할 때, 
$$F(x,y) = F(x)F(y)$$
라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Correlation


"Correlation"은 independence와 관련이 있으나 좀 더 약한 통계적 개념으로 두 random variables 간 (Pearson) correlation은 정규화된(standardized) variables의 곱의 기대값을 말합니다:
$$\begin{align*}\rho_{XY} &= \mathbf{E}\left[\frac{X-\mathbf{E}[X]}{\sqrt{\mathbf{E}[(X-\mathbf{E}[X])^2]}}\frac{Y-\mathbf{E}[Y]}{\sqrt{\mathbf{E}[(Y-\mathbf{E}[Y])^2]}}\right]\\
&= \frac{cov(X,Y)}{\sigma_X\sigma_Y}.\end{align*}$$
이 때, $\rho_{XY}=0$는 variables X와 Y가 서로 uncorrelated 되어있다는 말입니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두 random variables가 independent하면 항상 uncorrelated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순방향은 정의에 맞게 식을 전개해보면 되고, 역은 counter example을 들어 쉽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

순방향에 대한 식 전개:
$$\begin{align*}\mathbf{E}[XY]&=\int\int xyP_{X,Y}(x,y)dxdy \\
& = \int\int xyP_X(x)P_Y(y)dxdy\\
&=\mathbf{E}[X]\mathbf{E}[Y] \end{align*}$$
역방향에 대한 counter examples:

여기서 한 가지 헷갈리는 부분이 나오는데요. 지금까지 얘기한 independence는 statistical independence인데 이게 linear independence랑 서로 관련이 있으면서도 다르다는 것입니다. Linear dependent한 경우 statistically dependent 입니다. 이는 $\alpha X = Y$를 만족하는 non-zero scalar $\alpha$가 있을 때,
$$cov(X,Y)=cov(\frac{1}{\alpha}Y,Y) = \frac{1}{\alpha}Var(Y) \neq 0 $$
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X와 Y가 linear independent할지라도 $\rho_{XY}\neq 0$일 수 있기 떄문에 linear independence가 statistical independence를 보장해주지는 않죠.

Orthogonality


"Orthogonality"는 기하에서 온 개념으로 선형 대수학에서 일반적인 정의를 배울 수 있습니다.  선형대수학에서 정의하는 것을 보면, 두 벡터 $u$ 와 $v$가 서로 orthogonal하다는 것은 두 벡터 간의 내적 $<u,v>$이 정의된 내적 공간(inner product spaces)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는 것입니다:
$$<u,v>=0.$$
즉, 어떤 벡터 간의 orthogonality는 정의한 내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내적은 여러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한 예로 벡터들이 다음과 같이 수열로 나타내질 때는 우리가 흔히 아는 dot product를 골라서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u=(u_1,u_2,\cdots,u_n), <u,v>=\sum_{i=1}^{n}u_i v_j.$$
앞서 설명을 유심히 봤으면 알겠지만 orthogonality는 본질적으로 통계적인 개념이 아닙니다.

Orthogonality는 본질적으로 통계적인 개념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가 헷갈리는 이유가 보통 선형대수학에서의 개념을 통계로 가져오면서 생기는 것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


형식상 random variables의 공간은 vector space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그 공간에서 내적을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도 있을텐데, 그 중 한 가지 방식이 바로 covariance를 내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X,Y> = cov(X,Y) = \mathbf{E}(X-\mathbf{E}[X])\mathbf{E}(Y-\mathbf{E}[Y]).$$
두 random variables간 correlation이 0이면 covariance도 0이기 때문에, 이 정의에 의해서 ($\mathbf{E}[X]$나 $\mathbf{E}[Y]$ 중 하나가 0인 경우) uncorrelatedness가 orthogonality와 정확히 같아집니다. 따라서 두 random variables가 independent하면 (그리고 둘 중 하나는 zero-centered일 때) 서로 uncorrelated이며 orthogonal 하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식으로는 $\mathbf{E}[XY]$으로도 내적을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같은 얘기).

다만,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이 그 역은 항상 성립하지는 않는데요. 즉, 두 random variable이 orthogonal하다고 해서 independent하지는 않습니다. 이 부분에서 헷갈리는 것이 "음? 직교하는데 independent하지 않는 경우가 어떤게 있지?" 하는 생각이 바로 들게 되죠.

이 부분이 매우 어색하고 이상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random variable을 어느 순간 fixed variable과 dot product를 가지고 노는 선형 벡터 쪽 영역으로 은근슬쩍 넘어가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의 직교는 내적을 covariance로 정의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얘기하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생각하던 fixed variable vectors 둘을 골라서 dot product한 기준으로 얘기하면 안 됩니다. 즉, 정의대로 orthogonal = uncorrelated인 경우만을 생각하면 uncorrelated이나 dependent인 경우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X$가 $\{-1,0,1\}$ 중 하나의 값을 동일한 확률로 뽑는 random variable일 때 $Y=X^2$에 대해 $\rho_{XY}=0$이지만 dependent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사실 $X$가 0을 기준으로 symmetric pdf를 가지면 그 모든 예시에 대해 $X$와 $Y$는 서로 (covariance-wise) orthogonal하지만 dependent합니다.

B)


그러나 통계에서 다루는 모든 variables가 random variables는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선형 회귀 문제를 생각해보면 거기서 사용하는 입력값과 같은 독립 변수(independent variables)들은 random이 아니라 이미 "정해진" 값들입니다. Independent variables는 보통 수열로 주어지고 위에서 얘기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dot product를 내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이 때, independent variables가 regression line에 대해 orthogonal인지 아닌지 등을 얘기하는데 이런 맥락에서 보면 애시당초 orthogonality는 statistical definition도 갖지 않고 random variable에 적용되는 얘기도 아니죠. (ANOVA에서의 orthogonal contrasts 등)

정리해보자면 A)에서는 uncorrelatedness와 orthogonality는 사실 같은 것에 대한 다른 이름일뿐입니다. 따라서 가장 좋은 것은 random variable에 대해 uncorrelatedness를 말할 때는 orthogonality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같은 논지로 B)의 맥락에서는 non-random variable에 대해 correl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 읽어볼 것...


아래 reference로 달아둔 링크 중 "Linearly Independent, Orthogonal, and Uncorrelated Variables"라는 제목의 레포트가 있습니다. Non-random variable에 대해 내적으로 dot product를 사용하여 지금까지 본문에서 바라본 statistical 관점이 아니라 대수적 혹은 기하적 관점에서 바라본 논문 형태의 레포트인데요. 내용을 매우 잘 설명한 좋은(짧은) 논문이지만, 이 경우 내적이 dot product로 달라졌으므로, orthogonality와 uncorrelatedness가 같지 않으며 자칫하면 지금까지 간신히 잡아둔 개념들이 더 헷갈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봐야 합니다.

* 그리고 위 레포트에서는 non-random variable에 대해서도 correlation의 개념을 사용합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는 지금까지가 우리가 얘기했던 population에 대한 correlation coefficient가 아닌 sample correlation coefficient일 때 성립합니다. 앞서는 random variable이 표본 공간(sample space)에 대해 정의된 함수이며, 이 때 함수(random variables)들에 대한 내적을 얘기한 것이었다면, 위 레포트에서는 fixed or predefined variable 즉, sample에 대한 얘기이므로 분명히 다릅니다.

References





댓글 4개:

  1. 아!!.. 최근에 이해가 안되는게 있었는데 덕분에 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디

    답글삭제
    답글
    1. Unknown님 안녕하세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삭제